주식용어 공부 하기 시리즈를 계속해서 이어나가겠습니다. 오늘은 사이드카 숏커버링에 대해 알아볼 예정인데요. 이 사이드카와 비슷한것이 서킷브레이커가 있습니다. 서킷브레이커는 가격이 급격하게 떨어질 때 발동되는 것에 반면 사이드카는 오히려 반대로 상승하였을 때 발동되는 것이 사이드카 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아래에서 사이드카와 숏커버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이드카는 쉽게말해 선물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등락폭이 커질 때 발생하게 되는데요. 1분간 상승이나 하락하는 경우 발동되며 5분간 매매가 정지되며 이후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매매체결이 재개가 되는 것을 사이드카 라고 합니다.
사이드카는 프로그램 매매만을 하루 한 차례에 한해 일시적으로 중지, 발동 5분 후 자동으로 해제 되며 주식시장 매매거래 종료 40분 전 이후에는 발동하지 않는 것이 특징 입니다.
서킷브레이커는 발동조건이 총 3단계로 나뉘며 등락폭 별로 8% , 15% , 20%로 분류되면서 단계볅로 발동조건이 상이 합니다. 이는 주식시장에서 좋지 않은 영향일 경우 서킷브레이커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요. 당연히 등락폭이 커질 때 쓰는 말이니 꼭 자세히 알아두어야 하는 주식용어 중 하나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숏커버링은 공매도와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주식용어인데요. 주식시장에서 공매도 한 주식을 되갚기 위하여 다시 사는 환매수를 말합니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 될 때 주식을 빌려서 파는 것을 공매도라고 하는데요. 이후 주가가 하락하게 되면 싼 가격에 사서 다시 돌려줌으로 써 차익이 챙기는 것이지만 반대로 예상과는 다르게 주가가 상승할 때 손실을 줄이기 위해 주식을 매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야기, 숏커버링은 주가 상승을 야기합니다. 공매도의 주된 세력은 외국인 및 기관투자자 위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매도 및 숏커버링은 외인과 기관이 컨트롤하게 되는데요. 특히 기업들의 결산이 대부분 12월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숏 커버링 효과는 연말에 집중되기도 합니다.
여기까지 사이드카 숏커버링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이외에도 알아야할 주식용어가 정말 많은데요.아래 내용은 기본적인 주식용어 입니다. 궁금한것이 있다면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발급에 대해 총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란? 국민내일배움카드란 급격한 기술발전에 적응하고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소액생계비 대출 연장 가능할까 조건 한도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액생계비 재대출 및 연장 가능여부와…
버팀목전세자금 대출 지원대상 신청방법 대출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전세자금 대출로 주택도시공사에서 관리하고…
장애인연금 지원조건 신청방법 지원금에 대해 총정리하는 시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지원하는 복지사업으로 장애인 분들에 한하여…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지원대상 신청방법 지원금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기업과 취업애로사항을 겪고 있는 청년 두 분류에게…